DAS는
Direct Attached Storage로 PC나 서버에 Direct로 연결된 스토리지이다.
가장 구조가 간단하고, 빠른 속도, 쉬운 관리라는 장점은 있지만, 확장에는 한계가 있다.
파일 시스템을 사용한다.
NAS는
Network Attached Storage로 스토리지가 이더넷등의 LAN으로 서버와 연결 된 것이다.
서버와 스토리지 사이에 이더넷 스위치 외에 NAS 헤드(NAS 게이트웨이, 파일 서버)가 있는데, CIFS(window)와 NFS(Unix/Linux) 프로토콜 등을 포함하는 NAS 컨트롤러 같은 것이다.
클라이언트 - IP(인터넷) - 서버 - 이더넷스위치, NAS 헤더 - 스토리지 - BE 스위치
BE 스위치를 통해 스토리들을 Scale out 사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또한 파일 시스템을 사용한다.
SAN은
Storage Area Network로 이더넷 스위치가 아닌 SAN 스위치를 사용하고, 파일 시스템이 아닌 블록 시스템을 사용한다.
클라이언트 - IP(인터넷) - 서버 - FC 스위치 - 스토리지
NAS 헤드가 없는 대신 파일시스템 관리를 각 서버에서 관리한다.
ISCSI를 활용하여 기존 IP 기반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FC-SAN이 아닌 IP-SAN으로 사용하여 비용 절감을 노릴 수 있고(FC-SAN 자체가 비쌈)
FCIP 프로토콜을 통해 분산되어 있는 FC SAN을 접속할 수도 있다.
FCoE 프로토콜을 통해 비용감소를 노릴 수 있다.
SAN은 블록 시스템을 사용한다.
SAN 스토리지는 BE 스위치 없이 scale out 구성이 가능하다.
SAN이 더 빠르고 더 뛰어난 확장성, 유연성 등을 가졌지만, 비용이 비싸고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사용처를 구분해보면
DAS 소규모
NAS 중규모
SAN 대규모
이렇게 구분할 수 있다.
'개인 공부 > 면접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 AWS를 활용한 웹 3Tier Architecture_1 (0) | 2022.08.29 |
---|---|
DAY? 통신 프로토콜 (0) | 2022.08.28 |
DAY 2 Again - 고성능 컴퓨팅을 위해서 AWS 활용하기 (0) | 2022.08.15 |
DAY 1 Again-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쓰려면 어째야 될까? (0) | 2022.08.15 |
면접준비 DAY14 - 분산 시스템 (0) | 2021.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