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웹 서비스에서 통신 프로토콜을 잠시 짚고 넘어가려고 한다.
3 Tier 아키텍처에서는
웹 서버 / 웹 컨테이너 / DB 이렇게 3개의 티어로 나뉠 수 있다.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혹은 Web application server)와의 통신은 HTTP이다.
HTTP method(GET, POST, PUT, PATCH, DELETE)와 URL 등이 사용되는 통신 방식이다.
웹서버는 정적 데이터만 보낼 수 있다. 동적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web container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것이 application server이다.
서블릿을 통해서 Requsest를 보내고, Response를 받는다.(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doGET, doPOST 두 메소드를 실행한다.
마지막으로 웹 컨테이너와 DB는 SQL 문을 통해서 통신한다.
DB는 웹 컨테이너로 부터 SQL을 통해 질의를 받으면, 그에 맞는 Response를 준다.
'개인 공부 > 면접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 AWS를 활용한 웹 3Tier Architecture_2 (0) | 2022.08.29 |
---|---|
DAY? AWS를 활용한 웹 3Tier Architecture_1 (0) | 2022.08.29 |
DAY 2 Again - 고성능 컴퓨팅을 위해서 AWS 활용하기 (0) | 2022.08.15 |
DAY 1 Again-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쓰려면 어째야 될까? (0) | 2022.08.15 |
면접준비 DAY14 - DAS/NAS/SAN (2) | 2021.12.30 |